본문 바로가기

이사카 코타로

파시즘을 이야기할 때의 이사카 코타로: 마왕 요즘 중국과 일본의 영토 분쟁(댜오위다오/센카쿠열도) 때문에 나라 안팎으로 뒤숭숭하다. 위의 벽보는 반일 시위가 한참 벌어지고 있는 중국에서 발견된 거라고 하는데, 그 내용이 무시무시하다: '일본 남자는 모두 죽이고, 일본 여자는 모두 강간해라' 그런데 알고보면 중국에선 이와 비슷한 일이 벌어진 게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대표적인 게 문화대혁명 시절의 홍위병. 그것도 까마득한 옛날이 아니라 불과 40여 년 전의 일이고, 이 때 중국 전역에서 이성을 잃은 홍위병들에게 목숨을 빼앗긴 이들의 숫자는 무려 3만 명이었다고. 바로 이런 시절에, 파시즘의 창궐, 그리고 그로 인한 위험을 경계한 이사카 코타로의 작품 '마왕'을 읽게 된 건 참으로 시기적절한 일이었다. 그리고 이 작가는 후에 '모던타임스'를 통해서 다.. 더보기
이사카 코타로의 작품을 읽는 재미 이렇게 사진을 보니까 왠지 탁현민이랑 좀 비슷한 것 같기도... 이사카 코타로에 관한 포스팅을 많이 하게 되는데, 아무래도 취향이 맞다 보니 책도 많이 읽게 되고, 그래서 포스팅도 많이 하게 된다. 현역 작가들 중 이사카 코타로만큼 스펙트럼이 다양한 작가가 또 없진 않겠지만, 묘하게도 그렇게 다양한 취향의 작품들이 모두 내 취향에 잘 맞는다. 아기자기한 소품, 냉소가 가득한 장편, 작정을 하고 쓴 게 분명한 노골적인 스릴러까지 모두. 오늘 새벽에 막 책장을 덮은 그의 작품은 '오! 파더'였다. 여차저차한 사정으로, 성격과 개성과 취향이 제각각인 4명의 아버지(!)와 함께 사는 고딩 남자애가 화자로 등장하는 작품. 희한한 건, 엄마가 거의 나오질 않는다는 것. 그 4명의 아버지 가운데 누가 주인공 유키오의.. 더보기
최근에 읽은 책들 몇 권 최근 얼마간, 일이 좀 많다는 핑계로 블로그 포스팅은 게을리했지만 나름 책은 꾸준히 읽었다. 책을 사서 보는 게 아니라 동네 도서관에서 빌려서 보다 보니 거의 의무적으로 읽게 되더군. -_- 어쨌든 진득하게 곱씹으면서 음미할 필요가 있는 책들보단 빨리빨리 휙휙 볼 수 있는 소설을 좋아해서 여러 권을... 거칠게 말하자면 로버트 해리스나 빈스 플린 같은 모던 스릴러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을 것만 같고, 이런 장르에선 마치 교범처럼 통하는 작품인 만큼 탄탄한 구성과 캐릭터가 인상적이다. 다만 후대 작가의 '비슷한' 작품들을 먼저 보고 난 터라 아이라 레빈에게 괜히 미안해지는 느낌;; 전세계에 퍼져서 얼핏 전혀 공통점이 없어 보이는 인물들을, 각각 정해진 날짜에 살해하라고 사주하는 사람은 나치의 잔당이다... 더보기
집오리와 들오리의 코인로커 by 이사카 코타로 엉뚱하지만 기발한 상상력. 문화 창작자라면 누구나 기본적으로 갖춰야 할 덕목인데 우리나라에서도 팬이 많은 일본 작가 이사카 코타로가 바로 그걸 아주 제대로 발휘할 줄 안다고 보면 틀림이 없을 것이다. 도대체가 무슨 뜻인지 전혀 감도 잡히지 않는 이 희한한 제목의 소설은, 마지막 장(章)으로 들어갈 때쯤 무릎을 치게 만들고 참으로 화사(?)하면서도 아기자기한 분위기를 전달한다. 꼭 전형적인 일본 소품 영화를 보는 듯한 느낌. 주인공인 새내기 대학생이 하필이면 그 자리에서 밥 딜런의 'Blowin in the Wind'를 흥얼거리며 불렀어야 했던 이유가 있고, 하필이면 버스 안에서 그녀를 만났어야 했던 이유도 있으며, 등장인물들이 하필이면 집오리와 들오리로 비유가 되어야 하는 이유가 있고, 그리고 이 모든 .. 더보기
모던타임스, 이토록 슬픈 부품(들) (리뷰에 앞서, 채플린의 영화는 국내 개봉 시의 한글 제목인 '모던타임즈'로, 본 리뷰의 대상인 이사카 코타로의 소설은 국내 출시 제목인 로 표기할 것을 알린다) 채플린의 영화 '모던타임즈'를 생각했을 때 가장 먼저 머릿속에 떠오르는 이미지는 거대한 태엽 장치에 빨려들어가는 노동자의 모습이다. 어떤 식으로든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으로서 개인은 깡그리 무시하는 이 거대한 시스템을 이만큼 명료하게 보여주는 이미지는 없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사카 코타로의 '21세기 코믹잔혹극'이란 부제가 붙은 또한, 무려 60여 년 전에 한 천재가 보여준 비전을 그대로 유지한다. 황당무계한 블랙코미디를 넘어서는 페이소스를 느끼게 되는 것은 그렇게 어려운 일도 아니다. 세상을 움직이는 것은 언제나 거대한 그 누군가이며, 그.. 더보기